[경제읽기] 내일 이창용 주재 첫 금통위…기준금리 인상되나?<br /><br /><br />한국은행이 내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합니다.<br /><br />최근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은 만큼, 기준금리를 인상하고,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올릴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어떨지,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기준금리를 한 번에 0.5%포인트 올리는 '빅스텝' 가능성을 언급했던 이창용 한은 총재가 내일 취임 뒤 첫 금통위를 주재합니다. 이례적이긴 하지만 최근 물가 상승세를 고려하면 두 달 연속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있는데, 어떻게 예상하세요?<br /><br /> 미국의 통화 긴축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점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높게 보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. 이달 초 미국이 22년 만에 빅 스텝을 단행하면서, 한미간 금리 차이가 상당히 좁혀진 상황인데, 과거에 역전된 사례가 있었나요? 미국과 금리가 역전될 경우 어떤 현상이 발생하게 되나요?<br /><br />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거둬들일 수 있는 만큼, 물가 안정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대출 금리가 올라 가계 재무 건전성에는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정부가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최대 50년 만기 초장기 주택담보대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대출 규제에 따라 주택 구입에 애로를 겪었던 청년과 신혼부부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만기가 늘어나면서 부담해야 하는 총 이자 금액이 늘어나고, 초장기 대출이라는 점에서 부실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 실효성은 어떨까요? 또 정책금융이 청년층에 집중되면서 중장년층이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어요?<br /><br /> 2조 7천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대리운전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됐습니다. 다음 달 1일부터 2025년 5월 말까지 3년간 대기업의 신규 진입이 금지되고 기존 진출 기업의 사업 확장도 제한된다는데 주요 권고 내용을 짚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대리운전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을 두고 대기업 뿐만 아니라 기존 대리운전 업계에서도 "반쪽짜리"라며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